2017.10.23 13:42
[연구보고서] 일본자유화 정책의 실체와 한국의 에너지 전환의 과제
- 정부와 에너지 전문가들은 각종 에너지 정책과 관련하여 해외 사례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비교를 통해 교훈을 얻고 있지만, 일본만큼 그 비교의 적실성이 큰 나라가 없음.
- 무엇보다 에너지를 둘러싼 환경이 유사한 반면, 국가 혹은 공공정책 –에너지에 대한 공적통제 여부 등 민영화, 공공성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사회적 영향력-에서 극명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임
- 바로 이 때문에 에너지의 공공적 전환을 바라는 입장에서 일본은 중요한 표본이자 반면교사(反面敎師)의 나라임.
- 더욱이 후쿠시마 사태 이후 일본의 에너지 정책은 특히 원전정책에서 부침을 거듭하고 있는데, 이는 일본 정부의 개입전략과 시장과의 충돌 사이에서 빚어지는 극심한 갈등의 결과인 것으로 보임. 바로 이 점을 이해하기 위해 이번 일본 실사를 준비했고, 실사 과정에서 우리는 일본 내에서조차 아직 크게 알려지지 않은 중요한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음.
- 일본의 경우 2008년 이후 중단되었던 전력·가스 자유화 정책이 최근 힘을 갖고 추진되는 이유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바로 그 핵심에는 후쿠시마 사고의 처리 비용과 관련된 것이었음. 도쿄전력을 비롯하여 원전을 소유한 전력대기업들은 후쿠시마 사고의 비용을 전력자유화를 통한 발송비용에 전가하여 회생할 수 있는 기회를 얻고자 함. 전 국민이 원전을 이용했기 때문에 마땅히 국민이 져야할 부담이라는 논리일터인데, 결국 사고의 유발자인 도쿄전력과 원전기업들은 책임에서 해방되는, 불평등한 결과가 은폐되고 있음.
- 나아가 대다수 국가가 추진한, 에너지 산업의 민영화·자유화·시장화 결과와 마찬가지로 일본 역시 자유화의 결과는 대기업들의 독과점, 수직-수평적 계열화의 강화로 나아갈 수밖에 없을 것임.. 일본은 전력에 10개 기업, 가스는 인수기지와 배관을 소유한 9개 기업이 존재하지만, 사실상 전력과 가스 모두 3개 대기업의 독점적 지배체제라 할 수 있음. 즉 대다수 민영화된 나라의 사례를 볼 때, 일본 역시 대기업들의 경쟁 및 재편의 결과는 수직적-수평적 재편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공적 재편이 아닌 시장적 재편의 결과는 소비자·국민의 편익과 에너지 전환과는 무관하게 흘러가기 십상일 것임.
- 본 보고서를 통해 시장과 경쟁이 갖는 영원한 딜레마와 환상에 대해 재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한국의 에너지 공적 전환 정책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숙고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함.
번호 | 제목 | 날짜 |
---|---|---|
44 |
국민연금 개혁의 논쟁지형과 쟁점 평가
![]() | 2020.01.13 |
43 |
공공부문 민간위탁 제도개선방안
![]() | 2019.12.26 |
42 |
공공운수노조 여성사업 현황과 과제
![]() | 2019.11.28 |
41 |
노동조합의 지역정치 활성화 방안 연구
![]() | 2019.05.16 |
40 |
교통에너지환경세와 지역대중교통재정 간의 연계방안 연구
![]() | 2019.03.29 |
39 |
공공기관 노동조합운동의 임금정책과 임금체계 개편 대응전략 방향
![]() | 2018.11.27 |
38 |
항공기 지상조업의 경영과 노동실태 분석 연구
![]() | 2018.10.15 |
37 |
공공부문 노동시간 단축방향 연구
![]() | 2018.09.14 |
36 |
교육공무직 지자체 조례안 연구
![]() | 2018.09.12 |
35 |
공공운수노조 지역지부 연구
![]() | 2018.09.11 |
34 |
재생에너지 확대, 공공적 백업전원 그리고 천연가스
![]() | 2018.08.29 |
33 |
공공운수노조 교육사업 역량 실태조사
![]() | 2018.06.18 |
32 |
서울지하철 9호선 운영체계의 문제점과 통합공영화 추진방향
![]() | 2018.05.24 |
31 |
한국 청년의 노후 및 연금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 | 2018.01.03 |
» |
일본자유화 정책의 실체와 한국의 에너지 전환의 과제
![]() | 2017.10.23 |
29 |
기금을 활용한 노동조합의 사회연대 실천방안 연구
![]() | 2017.09.02 |
28 |
외국 광역교통 통합체계의 운영현황과 노동조합 개입의 시사점
![]() | 2017.07.28 |
27 |
한국 통신산업 발전과 통신공공성
![]() | 2017.07.17 |
26 |
수력발전 기능조정 비판과 공공적 물관리 대안
![]() | 2017.06.17 |
25 |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책 평가 연구
![]() | 2017.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