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1.13 19:48
이재훈, 구창우. (2019). 『국민연금 개혁의 논쟁지형과 쟁점 평가』. 사회공공연구원 연구보고서 2019-05
제4장에서는 연금개혁 논쟁구도를 살펴본다. 논쟁구도의 핵심은 표면적으로 <재정안정 vs 소득보장>인 것으로 보이나 실제 논쟁구도의 본질은 <다층연금 강화 vs 공적연금 강화>이며, 핵심은 <국민연금 강화vs 국민연금 약화>임을 강조한다.
제2부는 국민연금 개혁의 사회적 논의과정이 어떻게 전개됐는지 살펴보고 이에 대한 평가를 담고 있다. 이번 연금개혁의 정책적 특징이 기존 축소일변도의 연금개혁과 달리 국민연금 급여를 상향하는 내용이 쟁점으로 형성됐다는 점이라고 한다면, 정치적 과정에서는 정치권이 일부 전문가 중심의 일방적 논의에서 벗어나, 국민연금 주요 가입당사자가 참여하는 사회적 논의형태로 진행됐다는 점이다. 그러나 경사노위에서 연금개혁 특위가 마련됐지만 합의안은 도출되지 못했다. 제2부에서는 연금특위에 참여하는 각 단체의 입장을 포함한 정치적 과정을 분석하고 평가하면서 한계와 의미를 되돌아본다.
번호 | 제목 | 날짜 |
---|---|---|
54 |
코로나19 위기와 대응
![]() | 2021.04.01 |
53 |
의료연대본부의 비정규직 정규직화 평가와 조직 발전 과제
![]() | 2021.03.31 |
52 |
공공이 미래다(공공 서비스의 민주적 소유를 향하여) 한국어판
![]() | 2021.01.19 |
51 |
한국 공공부문의 천연가스 설비안전과 노동안전 제고를 위한 연구
![]() | 2021.01.17 |
50 |
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 미래전략 수립을 위한 조직실태 및 조합원 의식조사 결과보고서
![]() | 2021.01.17 |
49 |
국공립 예술단체의 새로운 공공성 모색
![]() | 2020.12.29 |
48 |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후속과제
![]() | 2020.11.01 |
47 |
공공적·민주적 에너지 전환과 에너지·전력 산업의 통합 모델
![]() | 2020.10.29 |
46 |
궤도 민자사업의 문제점 분석과 공영화 전략 모색 연구
![]() | 2020.03.03 |
45 |
청년조합원에 대한 이해와 노동조합의 과제
![]() | 2020.01.13 |
» |
국민연금 개혁의 논쟁지형과 쟁점 평가
![]() | 2020.01.13 |
43 |
공공부문 민간위탁 제도개선방안
![]() | 2019.12.26 |
42 |
공공운수노조 여성사업 현황과 과제
![]() | 2019.11.28 |
41 |
노동조합의 지역정치 활성화 방안 연구
![]() | 2019.05.16 |
40 |
교통에너지환경세와 지역대중교통재정 간의 연계방안 연구
![]() | 2019.03.29 |
39 |
공공기관 노동조합운동의 임금정책과 임금체계 개편 대응전략 방향
![]() | 2018.11.27 |
38 |
항공기 지상조업의 경영과 노동실태 분석 연구
![]() | 2018.10.15 |
37 |
공공부문 노동시간 단축방향 연구
![]() | 2018.09.14 |
36 |
교육공무직 지자체 조례안 연구
![]() | 2018.09.12 |
35 |
공공운수노조 지역지부 연구
![]() | 2018.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