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4.07 17:42
이재훈, 이상훈. 2020. "공공운수노조 교섭단위 기초조사 결과" 사회공공연구원 워킹페이퍼 2020-01
○ 조사시기 : 2019년 12월 20일
○ 조사대상 : 공공운수노조 소속 사업장(노조, 지부, 지회, 분회 등 모든 교섭단위)
○ 응답결과 : 185개 사업장(조합원 수 : 84,070명)
보고서는 2020년 임단투 방침마련을 위해 공공운수노조가 진행한 교섭단위 사업장 기초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이다.
보고서의 내용은 응답사업장에 대해 사용자 특성별, 사업장 규모별, 조합원 수 기준, 교섭권 여부, 조합원 고용형태별 등으로 기본 특성을 정리하고, 임금 및 임금교섭 실태와 전망, 단협 실태와 전망, 그리고 투쟁 사업 우선순위 등 총 20개 문항에 대한 조사결과를 담고 있다.
임금 및 임금교섭 실태와 전망
○ 2019년 임금인상률 : 평균 4.21%
- 109개 사업장(59.6%) 임금인상. 임금 삭감된 사업장은 없었으나, 13개 사업장 임금동결.
- 조사시점 기준, 72.7%(79개) 교섭으로 임금타결. 미타결 사업장 37개(20%).
* 파업 후 타결 10개(5.4%), 조정 신청 후 조정 및 교섭 합의 27개(14.6%).
○ (임단협 돌입시기) 공공기관 응답사업장의 76%가 하반기에 임단협 돌입. 시도교육청(교육공무직)은 4월, 그리고 용역위탁은 상반기 집중되는 경향을 보임. 비정규직 사업장은 67.1%(51개)가 상반기 교섭 돌입하는 반면, 정규직 중심은 60.6%가 하반기 교섭돌입.
○ (임단협 타결시기) 응답사업장 중 78.3%가 하반기 집중. 이중 과반이 넘는 69개 사업장이(57.7%) 4/4분기에 타결. 비정규직 사업장의 70.7% 정규직 사업장의 87.0%가 하반기에(특히 4/4분기) 교섭이 마무리됐음.
○ (임단협 소요기간) 평균 4.4개월. 타결사업장 중 90개(75.1%)가 6개월 이내 타결
* 비정규직 사업장 4.6개월, 정규직 사업장은 3.9개월. 타결 사업장 중에서 55개(45.9%)가 3개월 이내(한 달 이내 16.7%)
○ (임금요구안 확정 시 가장 영향을 미친 근거) 1순위 정부지침, 2순위 동종업종 상황.
○ (2020년 임금교섭의 노사 간 가장 중요한 쟁점) 1순위 임금인상률(57.5%), 2순위 임금체계개편(28.0%). 비정규직 사업장 57%, 정규직 54.9%가 1순위로 임금인상률 선택. 이는 평균임금 수준과 크게 상관없이 임금인상률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다만, 6천만원 이상 사업장은 임금인상률 다음으로 임금체계개편과 임금격차해소가 각각 20.8%로 나타남).
* 조사시점이 2019년 12월이며, 코로나 상황에 따라 상황의 변화 가능성 존재.
단협 실태와 전망
○ (2020년 단체교섭 예정 여부) 109개(62.9%) 교섭예정.
○ 공동요구안 확보현황
○ 확보율(1)* 기준, 확보율이 50%가 넘는 공동요구안은 35개 세부 요구안 가운데, 8개 요구안에 불과함. 확보율이 가장 높은 요구안은 ‘조합원 교육시간 유급으로 인정(72.7%)’이며, 다음으로 ‘임금체계 개편 시 노사합의(협의)’ 70.9%임.
* 확보율(1)은 공동요구가 해당사항이 없는 사업장을 제외한 전체 응답 중에서 일부 확보를 제외한 완전히 확보한 응답을 기준으로 한 것임.
○ 확보율(2)* 기준, 확보율이 50%가 넘는 공동요구안은 35개 세부 요구안 가운데, 18개 요구안에 불과함. 확보율이 가장 높은 요구안은 ‘모든 공휴일 유급휴일’ 85.1%, 다음으로 ‘임금체계 개편 시 노사합의(협의)’ 84.8%, ‘전임자/근로시간면제 시간 자율성 확보’ 83.9%, ‘근로시간 변경 시 노조와 합의(협의)’ 83.6% 순임.
* 확보율(2)는 공동요구가 해당사항이 없는 사업장을 제외한 전체 응답 중에서 확보와 일부 확보를 합한 응답 비율을 기준으로 한 것임.
○ 가장 ‘미 확보율’이 높은 요구 5순위
구분 |
공동요구안 |
미 확보율 |
1순위 |
인건비 낙착률 준용 금지 |
81.7 |
2순위 |
공동사내복지기금 |
80.8 |
3순위 |
비정규직 채용 사전 심사 때 노동조합 참여 |
77.6 |
4순위 |
실노동시간 단축과 교대제 개선을 위한 인력충원 |
72.3 |
5순위 |
간접고용 노동자 최저시급 1만원 이상 |
72.0 |
○ 2020년 단협에서 노사 간 가장 중요한 쟁점
- 2020년은 ‘인사평가제도 개선’(45개), ‘인력확충’(44개), ‘노동조합 활동보장’(38개), ‘실노동시간 단축 및 노동조건 차별 해소’(36개),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35개) 순임.
- 2019년에 비해 2020년은 ‘인력확충’ 요구가 9.2%에서 13.7%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고,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요구가 13.1%에서 9.5%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함.
공공운수노조 투쟁사업 우선순위
○ 2020년 노조가 집중해야 할 투쟁과제
- 2020년 노조 집중 투쟁과제로 1순위는 30.4%(56개) 비정규직 정규직화 및 차별 해소.
- 전체 1, 2순위 모두 고려했을 때 역시 비정규직 정규직화, 차별 해소가 21.6%(79개)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노동자 임금격차 축소(연대임금)이 19.7%로 나타남. 뒤를 이어 노조할 권리확대는 13.1%, 노동시간 단축, 탄력근로제 저지는 10.7% 순임.
○ 2020년 총선에서 요구할 가장 중요한 의제
- 1순위 중 가장 많이 선택된 것은 ‘공공부문 비정규직철폐와 차별철폐’(23.1%). ‘무기계약직 공무직(정규직) 법 제도화’(13.7%), ‘최저임금인상, 생활임금실현’(13.2%) 순임.
- 1, 2순위 모두 고려할 때 역시 ‘공공부문 비정규직 철폐와 차별철폐’가 19.3%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노동자 간 임금격차 해소’(13.8%)임.
○ 사업장 교섭 시, 상급단체의 역할 또는 지원활동 중 가장 중요한 것 2가지
- 교섭위원 등 교섭과정에 직접적인 지원을 요구하는 비중이 1순위로 가장 높았음. 우선순위 2개 선정 기준 역시 25.8%로 가장 높게 나타남. 다음으로 ‘교섭관련 각종 정보 등을 제공하는 주는 등 간접적인 지원’이 15.5%(51개)로 나타남.
번호 | 제목 | 날짜 |
---|---|---|
47 |
서해선(원시~소사) 민자사업 다단계 위탁운영구조의 문제점과 직영화 필요성(이영수)
![]() | 2021.04.08 |
46 |
코로나19시기 대중교통 이용 및 운송수입 변화와 재정지원 해외사례의 시사점(이영수)
![]() | 2021.02.17 |
45 |
전기수소차 보급정책의 한계점 -그린뉴딜의 관점에서-(이영수)
![]() | 2020.12.14 |
44 |
에너지 빈곤의 현실과 에너지 복지 현황 (최예륜)
![]() | 2020.11.30 |
43 |
공공성 강화를 위한 지방공기업법 개정방안 (김철)
![]() | 2020.11.03 |
42 |
미국의 공적연금과 401(k)의 현실과 과제(번역: 이재훈)
![]() | 2020.08.20 |
41 |
무상대중교통의 쟁점과 해외 사례의 시사점(이영수)
![]() | 2020.04.13 |
» |
공공운수노조 교섭단위 기초조사 결과(이재훈, 이상훈)
![]() | 2020.04.07 |
39 |
서울교통공사 정규직 전환 과정에 대한 청년공채노동자들의 반응 (장경태)
![]() | 2019.12.06 |
38 |
별정우체국 노동자들의 노동실태와 개선방향 (김직수)
![]() | 2019.12.06 |
37 |
공공기관 안전관리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김철)
![]() | 2019.10.03 |
36 |
기업 내 인권 문제와 노동조합의 대응 (권오훈)
![]() | 2019.07.15 |
35 |
디지털 전환과 노동의 변화, 그리고 노동조합의 대응방향 (김직수)
![]() | 2019.06.21 |
34 |
공공운수노조 간부의식조사 결과 보고서 (이재훈)
![]() | 2019.02.11 |
33 |
국내외 광역교통행정기구 운영평가와 바람직한 개편방향 (이영수)
![]() | 2018.08.29 |
32 |
미국의 최저임금 현황과 인상 효과 (이재훈)
![]() | 2018.07.18 |
31 |
한국형 노동이사제 확립방안 (김철)
![]() | 2018.05.14 |
30 |
일본 철도의 외주화 현황과 문제점 (김직수)
![]() | 2018.03.16 |
29 |
항공기 지상조업의 노동실태와 개선방향(이영수)
![]() | 2018.02.23 |
28 |
우정사업의 고용(인력)과 재정구조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이영수)
![]() | 2017.12.14 |